맥수의 슈팅게임세상

OBS 사용하기 (아케이드 슈팅게임 녹화및 방송) #1 본문

ETC (Game/취미)/PC/console 잡기

OBS 사용하기 (아케이드 슈팅게임 녹화및 방송) #1

Maxpeed 2019. 7. 28. 03:34

참고로 모든설정은 다 알고 있는것도 아니고 초보적인 지식뿐이라 전부 설명할 수 는 없다.
(OBS 버전 23.2.1 기준 작성)

OBS 설정에서 중요한것은 "프로파일 설정"과 "장면 모음"이다.

그림1 각 스트리밍(방송) 별로 혹은 녹화세팅별로 프로파일을 만들수 있다. 현재 선택된 프로파일, 장면모음은 체크표시가 되어 있다. 설정을 변경할때는 체크표시가 되어 있는것이 바뀌며 "적용"버튼을 누르면 설정이 변경된다.

"프로파일"은 방송 혹은 녹화를 할때 사운드 샘플링레이트, 프레임레이트, 녹화(표시) 해상도등의 스트리밍이나 게임녹화 등 여러세부 사항을 설정해서 저장해 놓을수 있다. 메뉴 탭의 설정이나 "설정" 버튼을 사용해서 세팅을 바꿀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을 한다고 하면 카카오TV, 아프리카, 유튜브, 트위치 각각의 방송플랫폼에 적합한 설정을 만들어서 그에 맞추어 프로파일을 선택하고 스트리밍(방송)을 할수 있게 세팅을 개별적으로 만들어 놓을 수 있다.

그림2 장면모음을 사용하여 플스2 슈팅게임의 화면배치를 한 예. 게임스트리밍이나 녹화시에 반영된다. 새로 만드는것도 좋지만 이미 만들어진 세팅을 복제해서 바꾸는 방법이더 편할 수도 있다.

프로파일 다음에는 "장면 모음"이다.
"장면모음"은 여러가지 화면 구성이나 배치를 하는 설정이다. 종화면 슈팅게임처럼 화면을 세운다거나 타이틀 자막을 넣는다거나 캠화면을 넣는다거나 할때 사용한다.
초기설치후에 프로파일이나 장면모음 상태는 "제목없음" 상태이며 여기서 화면 해상도등, 화면배치에 따라 바꾼후 이름 바꾸기를 사용 해서 설정명을 바꿀수 있다.

다음은 프로파일과 장면모음의 공통적인 사항이다.
새로 만들기 :프로파일,장면모음을 새로 만들때 사용. 이름설정하는 창이뜨고 세팅값은 디폴트로 설정 된다.
복제 : 기존 프로파일, 장면모음이 그대로 복제된다.
이름 바꾸기 : 현재 선택된 프로파일, 장면모음에 설정된 이름이 바뀐다.
가져오기 : 다른 OBS 에서 설정된 세팅을 볼러오는 기능 - 선택하면 폴더를 선택해야 하는데 "내보내기" 한 폴더를 찾아서 선택하면 다른컴에 설치된 OBS의 세팅을 불러올수 있다.
내보내기 : 다른 OBS 에서 사용하기 위해 현재 프로파일, 장면모음을 다른 폴더에 저장하는 기능이다. 설정 버튼을 클릭하거나 메뉴 → 설정으로 들어가면 세팅을 설정할수 있다.

방 송

방송(스트리밍)을 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 스샷 예는 트위치이다.

서비스 : 리스트를 열면 방송 서비스 플랫폼 리스트가 나온다. 카카오티비,부터 아프리카, 트위치 , 트위터(페리스코프), 유튜브등 서비스를 선택한다. 리스트에 없는 방송 플랫폼을 사용하려면 사용자 지정을 선택하고 방송 서비스 서버 주소를 직접 입력하면 된다.
각 방송서비스 플랫폼에는 서버 주소가 있는데 사용자지정을 하고 그서버주소를 입력해도 작동한다.
서버 : 각 방송사의 서버리스트가 나온다. 대부분 국내서버를 선택하는게 좋으며 국외서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로 서버를 설정할수 없는 경우도 있다.
스트림키 : 방송을 하기위한 필수 키 이다. 이 키만 있으면 따로 방송서비스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방송을 할수 있다.
그러므로 남에게 유출되지 않게 주의 할것. (물론 유출되었다 생각하면 새로 키를 발급 받아야 한다.)
계정 연결 : 계정연결이 필수인 방송 서비스가 있다면 계정ID 와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할 경우가 생긴다. 이 때 ID와 PW를 입력해 놓는다.

비디오

"비디오" 설정

기본 해상도 : 디폴트는 FHD (1920×1080) 이나 현재 설정된 최대 해상도에 맞춰 설정이 우선된다. 화면을 세울경우 세로 화면도 지원한다. 4 : 3 비 해상도나 그 외 비율해상도를 맞추려면 정확한건 아니지만 현재 화면 해상도를 4 : 3 비 등으로 설정하고 OBS 를 실행시킨후 그에 맞춰서 설정한후 원래해상도로 돌리면 된다. 기본적으로 16 : 9 해상도만 지원하므로 그외 비율 해상도는 잠깐 해상도나 화면을 변경한후에 해야 하는거 같다.
출력 해상도 : 기본 해상도보다 높을수 없으며, 기본해상도와 같거나 낮은 해상도로 출력을 조정한다. 방송송출이나 녹화시에 이 해상도로 송출/녹화가 된다.
축소필터 : 3가지가 있는데 대강의 설명이 나와 있으므로 생략. 아래쪽을 선택할 수록 선명하게 축소(?)된다.
Bicubic, Lanczos 둘중 아무거나 선택.화질에 신경쓰이면 후자이나 해상도 축소할일 없으면 아무 의미 없는 설정이다.
공통 FPS 값 :59.94 , 60 (29.97, 30은 움직임이 적거나 퍼즐게임 같은 단순한 영상에서 사용)

※ 아케이드 슈팅게임에서는 FHD 같은 해상도까진 필요없다. 기껏해야 1280×720 (HD 해상도)이면 충분하다. 단 프레임은 60프레임이나 그에 가까운 프레임을 선택.
16 : 9 화면으로 녹화나 방송할것 이라면 선택해야 할 해상도는 두가지 852×480, 1280×720 이다.
보통 횡스크롤(가로화면)아케이드 게임은 320×240 정도에 4:3 비율의 저해상도를 사용한다. 여기서 두배로 늘린 해상도가 640×480 정도의 해상도이며 영상 엔코더는 보통 720×480의 해상도로 변환한다. 여기에 16 : 9 의 비율 해상도에 넣으면 세로 해상도에 맞춰야 하므로 852×480 에 출력 해상도를 맞추면 된다.
종스크롤(세로화면) 게임은 사실 화면을 세우기만 한것이라 실제적인 해상도는 횡스크롤과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해상도를 줄이지않고 화면을 세워야 화질저하 없이 볼수 있기 때문에 720×480를 세우면 480×720 가 된다. 이 경우 1280×720 화면의 세로해상도랑 동일하기 때문에 이해상도로 맞춘다. ( 4 : 3 비율의 해상도 경우 세로해상도를 720으로 맞추면 가로는 960이 된다.)


오디오

샘플레이트 : 보통 48kHz 를 사용하지만 주기적인 잡음등 문제가 발생하면 44.1kHz로 맞춘다. 그 역상황도 마찬가지...
채널 : 모노 부터 7.1채널 사운드까지 지원한다. 보통 스테레오로 세팅.
장치 : 이 설정은 프로파일에 저장되는 설정이 아니다. (보통 하드웨어 장치 설정은 프로파일에 저장되지 않는다.)
데스크탑 오디오 - 데스크탑에서 나오는 소리
마이크/보조 오디오 - 사운드 입력단자의 Mic 입력단자나 Line in 단자를 사용할때 설정한다.

※ 캡쳐보드의 자체 사운드 입력단자를 사용할수도 있지만 컴퓨터의 사운드입력단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경우에는 Line in 단자나, MiC in 단자를 사용한다. 웹캡의 경우 마이크 단자가 포함된 경우도 있으니 장치리스트에서 설정하면 사용가능 하다. 캡쳐보드 자체입력단자 경우 장치에 따라 여기 장치리스트에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나중에 후술.
그외 세팅은 딱히 중요하거나 필요한 경우는 별로 없으니 디폴트상태로 놔두면 된다.

단축키 : 생략


고 급

일반
프로세스우선순위 설정 : "높음"으로 한다. 보통은 영상 녹화나 방송시 끊길위험이 있으며 실시간은 가급적 하지 않는다. 다른작업 하기 방해가 될정도...


비디오쪽 옵션은 잘모르면 그냥 디폴트로 놔두는것이 좋다. 딱히 건드려도 차이를 찾아보기 어렵기도하며 잘못건드리면 영상재생시 색이 탁하거나 원래색이 안나오는 경우도 존재한다.

비디오 : 본인이 아는 가장 간단한 서술만 했다. 자세한것을 알려면 인터넷 검색을 해봐서 조사해보기 바란다.
색상형식 : NV12, I420, I444, RGB
RGB는 보통 PC 나 아케이드 PCB 오락기 혹은 콘솔일부에서 사용하는 색상형식이라보면된다. 색데이터는 총24비트.
NV12 일반적으로 이 포맷을 쓴다.(12비트) 이것은 주로 방송용으로 쓰인다
색공간 : 601, 709 - 컬러테이블인데 601은 SDTV 에서 쓰이며, 709는 HDTV에서 쓰이는 컬러테이블이라고 한다.
색범위 : 부분 , 전체 - 각색의 단계가 보통 256단계 라고 한다면 전체 경우는 0~255 , 부분의 경우는 16 ~ 235 까지 색상단계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PC모니터 , 아케이드게임, 일부게임기 는 전체(0 ~ 255) TV나 비디오게임 출력은 부분(16 ~ 235)

PC나 게임기 일부에선 보통 화면에 색을 표시할 때 RGB 계열로 색상을 표현한다. 즉 적색,녹색,청색 의 밝기를 조절해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한다. 하지만 TV 경우 화면표현방식이 다르다. 명암과 색차만으로 표현한다. 이것을 YUV 방식이라고 한다. (TV 초기에는 흑백TV 가 나왔다. 기술이 발전해서 컬러 TV 가 나오게 되는데 TV를 컬러를 바꾸려면 송수신방식을 모두 바꿔야 해서 비용이랑 호환성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명암신호에서 색차신호만 추가하면 장비나 기기를 크게 바꾸지 않고 흑백/칼라TV에 송신해도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두방식이 조금은 다르기 때문에 색변환을 해주게 되는데 색변환의 한계 때문에 210단계까지 밖에 사용할 수가 없게 된다.

녹화
파일명형식 : 형식은 마우스커서를 대면 설정 포맷이 나온다. 스샷설정대로면 녹화파일명이 Kakao_년-월-일 시-분-초 형태로 녹화파일이 생성된다. 2019년 11월 11일 23시 40분 11초 경우는 Kakao_2019-11-11 23-40-11.mkv 라는 파일명으로 녹화가 된다.(확장자는 설정에 따라서 변경)
그이하 설명은 생략

출력 : 중요한 설정중에 하나다. 설정은 "단순" 과 "고급" 방식이 있는데 설명은 고급방식만 설명한다.

출력 설정의 단순방식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코딩방식

출력방식 : 고급

단순방식의 단점은 방송과 녹화시 비트레이트를 별도의 적당한 크기로 설정할수가 없는것이다. 녹화품질을 더 좋게 할순 있지만 용량이 지나치게 커진다. 20분당 1.3기가(비트레이트 8000Kbps 시), 20분당 4기가(높은품질 중간파일크기), 20분당 8기가(무손실크기와 비교하여 거의차이없는 화질 큰파일크기)

(저해상도 아케이드 슈팅게임에서는 8000Kbps 면 충분하고 더 커봐야 12000Kbps 정도이다.)

하드웨어 인코딩과 소프트웨어인코딩 방식의 옵션차이.

방송탭과 녹화탭은 사실 거의 차이없고 인코딩 방식x264 (CPU 인코딩 - 소프트웨어 방식) 로 하느냐, NVENC/Intel Quicksync/AMD VCE H.264 (GPU 인코딩 - 하드웨어 방식) 로 하느냐의 차이이다.

방송 : '방송서비스 인코더설정 강제적용' 은 따로 특정 방송서비스에서 권장하는것이 아니라면 일단 해제하는것이 권장된다.

 

녹화 : 설명을 따로 하지않은 것들은 그림대로 설정하면 된다.
형식 : 표준 - 이외는 인코딩 전문가가 사용할것이므로, 표준 방식을 사용하자.
녹화 경로 - 녹화 경로를 설정한다. 폴더를 찾아서 설정하는것과 직접 드라이브명과 경로를 적어서 설정 하면 된다.
녹화 형식 - MKV, MP4, MOV, FLV, ... MKV 로 권장 OBS 옵션에서 나중에 MP4포맷으로 변경할수 있으니 MKV 로 하자
출력비율 재조정 : 녹화나 방송할때 어느중 하나만 출력 해상도 설정을 재조정해서 녹화나 방송이 가능하다.
비트레이트 : 8000Kbps

움직임이 적은 퍼즐게임같은 것은 비트레이트가 좀 낮아도 화질에 별로 영향은 없는 편이다.
하지만 배경움직임이 역동적이거나 탄이 많이 날아오는 경우에는 이 비트레이트가 적으면 화면에 모자이크 현상(블럭 현상)이 생기기 때문에 비트레이트를 늘려준다. 예를 들어 단순하게 생각한다면 60프레임 영상은 30프레임영상보다 데이터량이 약 2배정도 요구 되므로 비트레이트를 더 늘려야 한다. 해상도가 두배로 늘어나면 필요 비트레이트 요구량은 약 4배까지 증가한다.
대충 4000 ~ 12800Kbps 정도사이의 값을 택한다. 방송(스트리밍)의 경우는 지역회선 상태등을 고려해서 좀더 낮은 비트레이트 요구치(1000[2500] ~ 4000Kbps)를 필요로 한다.
키프레임 간격 : 2 - 초단위로 키프레임을 설정한다. 키프레임이란 인코딩 하기위한 기본적인 렌더링 화면을 말한다.
키프레임이 짧은간격으로 있으면 영상데이터가 늘어나며 키프레임이 길면 영상데이터는 줄어드는 대신 재생할때 화면이 깨질확률이 높아진다.
인코더 :위 그림처럼 소프트방식(x264)과 하드방식(NVENC H.264)이 있다.
데이터율 제어 : CBR- 데이터 전송률을 일정하게 보내는 옵션, VBR - 움직임이 많은 장면은 데이터 전송률이 높게 움직임이 적은 장면은 데이터 전송률이 낮게 데이터 전송률을 변화시키면서 인코딩하는 옵션
CBR은 데이터가 거의 일정하게 전송되므로 모니터링이나 계산하기 간편한점 때문에 CBR을 선택하는게 좋다.
사전설정 : 품질우선부터 성능우선 , 낮은지연시간및 품질/성능 옵션이 있다.
프로파일 : high, main, baseline 이 있다. 뒤로 갈수록 CPU 성능이 낮을 경우에 사용한다.
최대 B-프레임 : 보통 0~4 라고 하는데, 스펙이 낮은 컴은 0, 보통 2를 설정한다.
CPU 사용량 : 플라시보 부터 울트라패스트까지 있다. 보통 veryfast 를 사용한다.
CPU 사용량이 차이가 있으며 느린옵션 일수록 화질이 더 좋아지나 cpu사용량이 늘어난다. Ultrafast는 화질열화가 심하므로 왠만하면 비추천한다. CPU 파워가 낮으면 가능하면 faster 이상 옵션을 사용한다.

(라이젠 5는 6코어 12스레드 이며 페넘 960T 경우는 4코어 4스레드이다. 라이젠이랑 페넘이랑은 코어당 처리속도가 절반정도 밖에 안된다. 즉 라이젠에서 코어하나에서 10%를 사용한다면 페넘에선 코어하나에서 20% 사용해야 같은 CPU 파워를 낼수 있다. 라이젠에서는 SMT를 사용할수 있기 때문에 한개코어당 스레드를 2개 나눌 수 있는데 이 가상쓰레드는 효율이 물리코어보다 낮아서 스레드 3~4개정도를 합쳐야 하나의 물리코어와 비슷한처리가 가능하다. - 대략 라이젠 1600은 물리코어 8정도와 비슷하다 가정하면 패넘 960t 랑 코어수차이 2배 싱글코어차이 2배해서 대략 4배정도의 차이가 난다. 아래 CPU 사용량 표를 참고해서 설정하면 될거 같다.)

아래표는 PS2 버전 도돈파치 대왕생 1스테이지 영상을 녹화인코딩시 CPU사용량표이다.
(Ryzen 5 1600 stock clock, 1280×720 59.94fps)

옵션 CPU 사용량 %(RYZEN 1600)
ultrafast 3 ~ 5
superfast 4 ~ 6
veryfast 7 ~ 10
faster 11 ~ 15
fast 17 ~ 22
midium 18 ~ 25
slow 40 ~

조정 : 각용도에 맞는 조정을 선택하거나 없음으로 해놓으면 된다.

x264 설정 : 좀더 전문적인 설정이나 지식이 필요하므로 잘모르면 그냥 공백으로 넘긴다. 하드웨어 인코딩과 소프트웨어 인코딩의 화질을 비교하면 공교롭게도 소프트웨어 인코딩이 화질이 더 높은편이다. 아래슬라이드 샷을 보고 참고하기 바란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인코딩에서도 CPU 사용량 옵션에 따라서 화질에 약간 영향을 받으며 프로파일에 따라서도 살짝 차이가 난다. 다만 각영상 프레임간에 빠르게 넘어가기 때문에 왠만한 차이가 아니면 알아채긴 어려운편이다.

0123456
슬라이드 그림은 소프트웨어 인코딩(x264) 설정에서 차례로 slow, midium, fast, faster, veryfast, superfast, ultrafast 순이다.
012345
NVENC H.264 하드웨어 인코딩방식 high-최고품질, baseline-최고품질, high-낮은지연및 품질, baseline-낮은지연품질, high-최대성능, baseline-최대성능 순이다.

Comments